2025 LG씨엔에스

LG그룹의 IT 서비스 대표주자 LG씨엔에스(LG CNS)는 2025년 2월 한국거래소(KOSPI)에 화려하게 상장하며 국내 IPO 시장을 뜨겁게 달궜습니다. 공모가 61,900원을 책정했던 이번 상장은 IPO 경쟁률 123:1, 청약 증거금 44조원, 기관 수요예측 114:1이라는 눈부신 기록을 남겼지만, 상장 직후 공모가 대비 10% 가까이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아냈습니다.

이후 LG CNS는 공모가 회복에서 신고가 경신까지 강한 반등을 보여주며, IT·클라우드·AI 중심의 디지털 전환 대표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LG CNS의 상장 배경, 공모가, 주가 흐름, 주가 전망 분석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1. LG CNS 기업 개요

  • 설립연도: 1987년, LG-EDS 합작으로 시작본사: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 임직원: 약 7,000명

  • 주요 사업: 클라우드, AI·빅데이터, 스마트 팩토리, 보안, Web3, 공공·금융 DX 등

📈 2. 상장 및 공모가

  • IPO 시기: 2025년 2월 5일 코스피 상장

  • 공모가: 61,900원 (희망범위 상단)

  • 청약 기록: 수요예측 114:1, 일반청약 123:1, 증거금 44조원 확보 

  • 공모 자금: 약 1.2조원 조달, 이 중 약 3,900억원은 AI·M&A 투자, 나머지는 부채상환 및 인프라 확보에 사용

📉 3. 상장 직후 주가 흐름

  • 상장 시 초가와 종가: 60,500원→55,800원으로 공모가 대비 10% 하락 

  • 최저가: 46,550원까지 밀림

  • 회복세: 6월 중순부터 신고가 갱신 흐름 전환, 현재 8만원대까지 상승

🔍 4. 주가 급등 요인

  • CBDC(디지털 중앙은행화폐) 기대감: 한국은행 '프로젝트 한강' 참여 사실과 AI·클라우드 기술력 부각

  • AI·클라우드 실적 개선: 이 부문 매출 YoY +30% 성장, 최근 분기 기준 전체 매출의 60% 비중 

  • 외국인 수요 유입: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가 주가를 밀어 올림 

💹 5. 전문가 분석 및 향후 전망

  • 삼성증권 분석: PER 13.7배, 클라우드·AI 부문 성장 기대치 높음

  • 네이버 블로그 분석: 예상 순이익 4,131억원 기준 P/E 15.5배, 목표주가 67,000~71,300원 

  • 투자 리스크: 맥쿼리PE잔여 지분 매각(오버행 우려), 글로벌 IT 투자 위축 가능성, 공모가 고평가 논란 등

✅ 정리 테이블


항목 내용
공모가 61,900원
상장 첫날 종가 55,800원 (−10%)
신고가 81,800원
6월 주가 상승폭 +50%
목표주가 67,000~71,300원
밸류에이션 PER 13.7~15.5배 수준
주요 리스크 맥쿼리PE 매도 부담, 고금리 및 IT 투자 위축

🏁 결론

LG CNS는 상장 초기 낙폭과 고평가 논란에도 불구하고, CBDC 참여 소식, AI·클라우드 실적 가속, 외국인 매수 유입 등 호재로 공모가 회복 및 신고가 경신이라는 주가 반전을 이뤄냈습니다. 전문가들은 PER 13~15배 밸류에이션이 비교적 저평가라는 견해를 내놓고 있으며, 목표주가도 7만 원대 초중반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PEF 보유 지분 매도 가능성, IT·금리 리스크는 단기 조정 요인으로 주의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전환 수혜주로서 성장성이 유효한 종목이지만, 투자 시에는 분할 매수 및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